영어 문법의 현재분사, 과거형, 과거분사는 형태도 다르고, 해석 방식도 언어마다 차이가 있어요.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를 기준으로 현재분사 vs 과거형 vs 과거분사를 아래처럼 비교해 드릴게요.
✅ 1. 현재분사 = be동사 + ~ing
- 형태: be동사 + 동사원형 + ing
- 기능: 진행 중인 행동이나 상태 표현
🔹 예시
- I am eating. → 나는 먹고 있는 중이다.
- She was running. → 그녀는 달리고 있었다.
👉 한국어도 ‘~고 있다’ 형태로 진행형을 구분하므로,
현재분사는 영어·한국어 모두 해석상 구분이 뚜렷하게 있습니다.
✅ 2. 과거형 = 동사의 과거형 (동사 자체 변화)
- 형태: 동사에 -ed (규칙) / 형태 변화 (불규칙)
- 기능: 과거에 발생한 동작/사실을 단순하게 말할 때 사용
🔹 예시
- I ate breakfast. → 나는 아침을 먹었다.
- He worked late. → 그는 늦게까지 일했다.
👉 한국어도 과거 시제로 ‘~했다’ ‘~했다’로 표현하므로,
과거형은 한국어와 해석이 거의 동일하게 대응됩니다.
✅ 3. 과거분사 = 완료/수동/형용사로 사용
- 형태: 동사의 3번째 형태 (과거분사 형태)
- 기능:
- 현재완료: have + p.p → 과거부터 지금까지 영향
- 수동태: be + p.p → 누군가에 의해 ~된 상태
- 형용사 용법: ~된 (상태 묘사)
🔹 예시
- I have eaten lunch. → 나는 점심을 먹은 상태이다.
- The window was broken. → 창문이 깨져 있었다.
- A tired man → 지친 남자
👉 여기서부터 해석이 영어만의 구분이 강하게 나타나는 부분입니다.
한국어는 뉘앙스로 구분하지, 문법적으로 '완료'나 '수동'을 따로 표시하지 않아요.
🧠 정리하면:
항목영어 표현한국어 해석언어 간 차이
현재분사 | be + 동사ing | ~하고 있다 | 한국어도 표현 O |
과거형 | 동사 + ed (또는 불규칙) | ~했다 | 한국어도 표현 O |
과거분사 | p.p (3형식) | ~된, ~해진, ~한 상태 | ❗한국어엔 명확한 문법 표현 X (뉘앙스로만 존재) |
📌 예시로 비교해볼게요:
영어 문장해석문법
The baby is crying. | 아기가 울고 있다 | 현재진행형 |
The baby cried. | 아기가 울었다 | 과거형 |
The baby has cried. | 아기가 울었고, 지금 그 영향이 있다 | 현재완료 (과거분사) |
A broken toy | 망가진 장난감 | 형용사 (과거분사) |
The toy was broken. | 장난감이 부서졌다 / 부서져 있었다 | 수동태 (과거분사) |
💬 결론:
- ✔ 현재분사와 과거형은 한국어에서도 대응되는 표현이 분명합니다.
- ❗ 과거분사는 영어에서 더 명확하게 문법적으로 구분되며,
한국어는 '누군가에 의해 ~된' '이미 해 놓은' 등 뉘앙스 차이로만 표현됩니다.
'지식투자 > 영어로?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영어감정어휘] 상실감 vs 황망함 vs 공허함 vs 허탈감 영어 표현 비교와 의미 차이 (0) | 2025.05.14 |
---|---|
[영어어원] direct의 반대말이 undirect가 아닌 이유? un-과 in-의 결정적 차이 정리 (0) | 2025.05.14 |
초보자들이 AI 회화 앱 사용 후 자주 묻는 확장 질문들 (0) | 2025.05.08 |
중국어·일본어까지 확장! AI 외국어 회화 연습 가이드 (0) | 2025.05.07 |
영어 회화 초보자를 위한 AI 연습법 총정리 (0) | 2025.05.07 |